하이 초퍼's Avatar

하이 초퍼

@highchopper.bsky.social

컨텍스트 / 기간한정 트윗지향 / 종종 지웁니다.

82 Followers  |  65 Following  |  943 Posts  |  Joined: 04.05.2023  |  1.9139

Latest posts by highchopper.bsky.social on Bluesky

케네디홀을 트럼프홀로 바꾸려한다는데 이 난장의 끝이 어디일까

21.09.2025 06:45 — 👍 0    🔁 0    💬 0    📌 0

요 근래 AI를 정말 많이 쓰는데, 쓸 때마다 경력과 실무를 쌓지 못하는 이들은 어떻게 해야하나란 생각만 들 뿐이다.

27.08.2025 10:10 — 👍 0    🔁 0    💬 0    📌 0

보고서에서만 일본은행의 제로금리나 양적완화의 규모 등으로 접했지, 왜 저 지경까지 갔는가에 대해 궁금했는데 마침 도서관에서 딱 맞는 책을 보게 되었다. 책 제목은 음모론 류의 제목이라 손이 안 갔는데 막상 내용은 시계열로 회고록 모음 같이 잘 정리되어 있어 간만에 재밌게 보고있다.

11.08.2025 13:54 — 👍 0    🔁 0    💬 0    📌 0

자꾸 저 치는 동탁이 연상된단 말이다.

07.08.2025 12:23 — 👍 0    🔁 0    💬 0    📌 0

올해 지금까지 읽은 책중에서는 ‘공포의 텍스트’가 1순위로 올해의 책으로 꼽을 것 같다.

05.08.2025 14:01 — 👍 0    🔁 0    💬 0    📌 0
김보영 작가의 고래눈이내리다 책표지

김보영 작가의 고래눈이내리다 책표지

김보영 작가의 고래눈이 내리다를 다 읽었다. 나는 그의 영적인, 혹은 신학적인 접근을 좋아하고, 만나러 가는 3부작의 그리움에 대한 그의 감수성도 좋아한다. 그런 면에서 ‘느슨하게 동일한 그대’는 정말 좋았다.

05.08.2025 13:29 — 👍 0    🔁 0    💬 0    📌 0

정부의 수입은 줄이면서 얼마의 이자 비용을 줄이기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한다는 미국 엘리트들의 주장.

31.07.2025 23:42 — 👍 0    🔁 0    💬 0    📌 0

수많은 유리 서버들을 보낸 끝에 못생겨도 쓸 수 밖에…

31.07.2025 23:41 — 👍 0    🔁 0    💬 0    📌 0

시계를 8개월 전으로 돌리면 굉장히 선방한셈

31.07.2025 07:18 — 👍 0    🔁 0    💬 0    📌 0

얼마전에 선우용녀씨가 게스트로 나오는 냉장고를 부탁해를 봤고, 그 세대가 가지는 어떤 무례함을 또 한번 느꼈다.

26.07.2025 00:21 — 👍 0    🔁 0    💬 0    📌 0

서부지법 관련 판결이 났구나. 공부만 했던 범생들을 얕보는 이유가 있다.

25.07.2025 23:59 — 👍 0    🔁 0    💬 0    📌 0

자영업자들에게 마치 백종원이나 이원일처럼 말을 얹지만 그냥 지갑을 여는 것이 백배 도움이 될 것이다.
리테일이 쓰레기라고 말하는 이들이 종종 있는데 리테일을 쓰레기로 만든 건 사실 이 사회이다.
리테일이 경험을 중시하며 새롭게 변화한다라는 구루들의 말들은 사실 돈 많은 브랜드에게 하는 영업멘트지 자영업자하고는 대부분 상관없는 말이다.

25.07.2025 23:51 — 👍 0    🔁 0    💬 0    📌 0

재개발, 재건축에 성공한 거대한 아파트 단지들을 볼 때마다 그 공간이 어떤 사회와 삶을 규정했는지를 생각해보곤 한다.
넓은 단지는 단지를 걷는 이들에게 기분을 좋아지게 할 순 있지만 걸어서 단지 밖을 나갈 엄두를 내지 못한다. 걷지 못하기 때문에 배달을 시키고 택배를 사는 라이프스타일만 남는다.
새로 만든 단지 상가는 높은 분양가를 요구하고 임대료는 따라 올라간다. 임대료는 식당의 원가를 조정하고 한정된 업종만 입주를 허락한다.
이제 서울 내 몇 안남아 보이는 빌라들은 아파트주민들의 쇼핑경험을 위해 변하거나 재개발을 기다린다.

25.07.2025 23:48 — 👍 0    🔁 0    💬 1    📌 0

결국 트라이탄 서버가 답인가.

24.07.2025 13:24 — 👍 0    🔁 0    💬 1    📌 0

정말로 큰 변화를 이끌어 낸다면 애플의 아이폰3gs도입보다 큰 진전이라 생각한다.

bsky.app/profile/high...

18.07.2025 05:25 — 👍 0    🔁 0    💬 0    📌 0

구 야당후보 현 대통령은 재산형성에 주식이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고 그 부분이 꽤 인상적이었음. 그런 관계로 지금 상법 개정 등을 통한 주식시장의 개혁은 누구나 예상한 바이기도 한데.

18.07.2025 05:22 — 👍 1    🔁 0    💬 1    📌 0

모스탄이라니, 어디 만화 빌런같은 이름이야.

17.07.2025 10:20 — 👍 0    🔁 0    💬 0    📌 0

AI가 사용자에 맞춤으로 피드백이 지속되면 그 사용자의 AI는 사실상 그 사용자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고 그럼 AI핑계를 댈 수 없는 것 아닌가.

16.07.2025 09:35 — 👍 0    🔁 0    💬 0    📌 0

3월 27일 미국혁신팀이 만들어졌고 쿠슈너가 책임을 맡았다. 이 조직의 규정된 임무는 연방정부의 관료주의를 줄이는 것이었다. 관료조직을 줄이려고 새로운 관료조직을 만들고 위원회들을 없애려고 위원회를 만들겠다는 것이었다. 게다가 쿠슈너의 새 조직은 정부 내부의 기술적 측면을 검토하고,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고, 견습 교육에 대한 정책을 장려하고 제안하며.. -같은 책, p293

14.07.2025 14:01 — 👍 0    🔁 0    💬 0    📌 0

제프리 엡스타인과 더불어 트럼프와 배럭은 1980년대와 1990년대식의 밤 유흥을 위한 친구들이었다.-화염과 분노, p56

14.07.2025 13:59 — 👍 0    🔁 0    💬 1    📌 0

이 세계관의 서울과 한국은 제조업의 나라가 아니라 서울과 일부 수도권만 있는 좀더 큰 규모의 금융과 서비스업이 있는 싱가포르인 것이다.

14.07.2025 10:19 — 👍 0    🔁 0    💬 0    📌 0

대강 한강이 보이는, 흔히 얘기하는 상급지가 대충 2만 세대는 될 것 같은데 이게 모두 50-100억이상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의 세계관이 있다.

14.07.2025 10:09 — 👍 0    🔁 0    💬 1    📌 0

트위터 대주주는 트럼프와 각을 한번 세웠다가 내리곤 다시 세웠다가 내렸는데 2번이면 이미 마음을 먹은 것이겠지.

06.07.2025 11:51 — 👍 0    🔁 0    💬 0    📌 0

한은 총재가 굴로벌 총재들과 한 자리에 앉을 수 있는 것은 국내 정치의 결과물은 아닐까 싶은 것이다. 본인도 관련 언급을 했고.
2번 정당은 글로벌 경제내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정당이라 생각한다. 정말로 한국이 수출 주도형 국가경제시스템이라 생각한다면.

04.07.2025 00:53 — 👍 0    🔁 0    💬 0    📌 0
Preview
美재무 "상호관세, 약 100개국에 최저치인 10% 부과될 것"(종합) "더 나은 합의 위해 기다리는 나라들엔 원래 정한 상호관세율 적용" 상호관세 유예 만료 앞두고 인터뷰서 무역상대국들에 압박 조준형 특파원 = 미국의 무역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어제 고용도 그럭저럭, 관세도 그럭저럭. 연준은 더 기다리겠다 할 것 같다.
naver.me/5tfZPrUL

03.07.2025 23:38 — 👍 0    🔁 0    💬 0    📌 0

연이어서 낸시 프레이저의 짧은 책, ‘낡은 것은 가고, 새것은 아직 오지 않은‘까지 봤다. 이 책도 최신의 책이지만 여전히 어떤 나이브함을 읽을 수 있다. 미국의 진보는 해답을 찾지 못했고 그 결과 트럼프를 재선시키게 된다.

03.07.2025 23:25 — 👍 1    🔁 0    💬 0    📌 0

참.. 강준만씨는 그냥 절필을 하지 남사스럽게 저런 글을 쓴다. 반면교사 삼아 저렇게 늙지 말아야겠다.

03.07.2025 12:55 — 👍 0    🔁 0    💬 0    📌 0

나토의 방위비 분담을 주장하는 트럼프는 사실은 유럽연합의 분열을 원하는 것은 아닐까. 물리적인 하지만 동등하지는 않는 힘을 가지고서 공동의 적을 상대하기란 쉽지 않은 법이다.

01.07.2025 10:43 — 👍 0    🔁 0    💬 0    📌 0

이 책을 조지 캐리가 쓴 작은 책, ‘미국 정치사상 공부의 기초’와 같이 봤다. 캐리의 책은 2004년의 책인지라 ’어떻게~‘가 집중해서 기술하는 소수의 횡포에 대한 논의가 전혀 없다.

01.07.2025 10:30 — 👍 0    🔁 0    💬 1    📌 0

헌법에서 남성이라는 단어를 없애기 위해 이 나라의 여성은 52년간 끊임없이 운동을 벌여야 했다….그것은 지속적이고 끝이 없어 보이는 활동의 연속이었다. 그 흐름의 마지막 고리를 연결하는 데 기여한 젊은 여성 참정권론자들은 그 운동이 시작될 무렵 태어나지도 않았다. 그리고 그 연속의 첫 번째 고리를 만들어낸 나이 많은 여성 참정권론자들은 그 운동이 끝났을 때 이미 세상에 없었다. - 같은 책, p355

30.06.2025 12:50 — 👍 0    🔁 1    💬 1    📌 0

@highchopper is following 19 prominent acc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