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유독 那를 구어체식으로 발음해와서 nà가 아닌 nèi라고 발음하게 되네
나중에 말하기 시험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구어체로 발음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데🥲
@monto-language.bsky.social
• 언어학 + 각종 언어에 관한 사담 (옛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대만어, 티베트어 등) • 프로필 : https://posty.pe/5wva8i (팔로우 전 필독 🙏) • 성인 남성 ♂️ 🏳️🌈 • 일상계(본계) : @monto-daily.bsky.social
예전부터 유독 那를 구어체식으로 발음해와서 nà가 아닌 nèi라고 발음하게 되네
나중에 말하기 시험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구어체로 발음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데🥲
제발 갤럭시 키보드 언어 최대 개수 늘려 주세요
한국어 포함해서 고작 4개가 최대라니..
Why doesn't Bluesky implement the private account feature that many people want?🤔
There are many people on Twitter who are not moving to Bluesky because this feature is missing
之[zhī]를 손으로 쓸 때 자꾸 え[e]처럼 쓰게 되네
18.02.2025 10:13 — 👍 2 🔁 0 💬 0 📌 0언어계 프로필을 포스타입으로 옮겨서 메인 고정 게시물도 재업했습니다😊
15.02.2025 05:23 — 👍 2 🔁 0 💬 0 📌 0※ 타 언어로 쓴 게시물에 적는 약어
15.02.2025 05:21 — 👍 0 🔁 0 💬 0 📌 0⭐️ 메인 Main ⭐️
※ 프로필 및 필독 사항❗️
→ posty.pe/5wva8i
※ 학구적인 목적이 아닌 가벼운 언어학 관련 사담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계정이니 흥미 위주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 맞팔은 여기에 흔적 남겨주시는 본계 블친 or 언어계인 경우에만 합니다!
ぬい(솜인형)를 한국어로 쓸 때 '누이'라고 쓰면 왠지 姐妹를 의미하는 것 같아서 그냥 '인형'이나 '솜인형'으로 쓰는 편
(물론 맥락상 솜인형이라는 걸 알 수도 있지만 일본어를 모르는 분은 읭??할 수 있어서)
今者再入忍者少年乱太郎。(古漢)
26.01.2025 13:48 — 👍 2 🔁 0 💬 0 📌 0추측의 의도가 없음에도 '-인 것 같다'를 사용하는 오용(誤用) 사례가 많은 건 왜일까를 생각해봤는데 확실치 않다는 걸 강조함으로써 결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성향이 습관으로 남아버려 무의식적으로 쓰는 것이 아닐까.. 라는 추측을 하게 됨
22.01.2025 11:25 — 👍 2 🔁 1 💬 0 📌 0※ 타 언어로 쓴 잡담에 적는 약어
22.01.2025 11:12 — 👍 0 🔁 0 💬 0 📌 0近間以就準痛頭。(古漢)
22.01.2025 10:57 — 👍 0 🔁 0 💬 0 📌 0#그림러_블친소
#블친소
레트로 하이틴과 Y2K 무드를 사랑하는 그림러입니다!! 캔버스 꽈아악 채워서 그리는거 좋아해요 블친해주세요...!!
2차위주 그림러이지만 사담이 대부분인점 참고해주세요❤️🔥❤️🔥
여기서의 '한문'은 한자를 사용하여 작성된 고대의 글말(한시 등)입니다!
예시: 春風遠客眼雙明
(봄바람에 나그네의 두 눈이 밝아지네)
[성임(成任),'양화도(楊花渡)' 일부]
자주는 아니겠지만 가끔씩 써 보려 합니다
혹여나 무슨 언어인지 궁금하신 경우 아래 사진의 약어를 참고해 주세요!
(블스 프로필에도 링크가 있습니다)
가끔씩 여러 언어로 잡담도 써볼까
19.01.2025 11:06 — 👍 3 🔁 0 💬 1 📌 0와 엘프어라니ㅋㅋㅋ 저도 함 찾아봐야겠어요😆
17.01.2025 17:26 — 👍 0 🔁 0 💬 0 📌 0누군지 몰라서 검색해봤는데 엄청나신 분이었네요!!
반지의 제왕 작가님이 언어학자이신 줄은 생각도 못 했어요🫢
고양이의 [r̃ːh] 소리 너무 안정적이고 편하게 들려서 나도 모르게 졸려질 때가 있어..
17.01.2025 09:33 — 👍 2 🔁 0 💬 0 📌 0그만뒀던 가장 큰 이유는 악센트 외우기가 너무 귀찮았어서..
14.01.2025 13:20 — 👍 3 🔁 0 💬 0 📌 0중세 한국어는 2년 전엔가 찍먹만 좀 하다가 말았는데 다시 공부해볼까 고민 중
14.01.2025 13:15 — 👍 4 🔁 0 💬 0 📌 1마작(麻雀)의 근대 한국어 표기는 뭐였을까
그냥 한자 그대로 썼으려나?🤔
페퍼로니가 중국어로 意大利辣香肠인 거 뻘하게 웃기네 ㅋㅋㅋ
막 [pei po rou ni] 이런 걸 줄 알았는데
세계관 하나 만들고 인공어 만들어서 그 세계관의 공용어로 한 다음 세계관의 지역마다 자캐를 만들고 싶은데 너무 방대해질까봐 계속 고민만 하는 중..🥲
09.01.2025 05:22 — 👍 3 🔁 1 💬 0 📌 0협화어 기준으로 중국을 뜻하는 支那를 [チャイナ]로 발음했었다는 게 신기하네
일본어로는 [シナ]로 발음하는 듯
프사 만들어봤어요😊
08.01.2025 01:49 — 👍 4 🔁 0 💬 0 📌 0최애 컾 명칭이 立冬(입동)이라는 사실을 알고 감탄 중
07.01.2025 15:42 — 👍 3 🔁 0 💬 0 📌 0물론 저 호칭은 여러 호칭 중 하나였을 뿐 다른 호칭도 있었다는데 다른 호칭들은 일반적인 호칭이었는지 확실하게는 모르겠어요🥲
(契兄弟,男风)
옛 중국에서는 남성 동성애자를 부르는 호칭 중 하나로 「兔爷」가 있다고 하던데 일반적인 게이가 아닌 남창(男娼)을 뜻하는 속어였다는 걸 방금 앎
토끼(兔)의 귀여움에 속을 뻔..
협화어는 사용된 시기가 너무 짧아서 사전이랄 것도 없다는 게 너무 아쉬워 ㅠ
물론 시기가 길어도 사전이 없는 경우는 있지만 암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