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골 [개물]'s Avatar

괴골 [개물]

@cfr0g.bsky.social

데이터와 과학 이야기 가끔.

550 Followers  |  20 Following  |  58 Posts  |  Joined: 31.05.2023  |  2.0443

Latest posts by cfr0g.bsky.social on Bluesky

세금 안 내고 허가 안 받고 장사하겠다는 배짱 하나는 확실히 혁신적이더군요.

05.03.2025 03:49 — 👍 7    🔁 25    💬 1    📌 0
Preview
김현태, 민주당 보좌진 겨냥 “욕설·폭력 행사” 김현태 "野 보좌진, 국회서 군인들에 욕설·폭력 행사" 김현태 "계엄군 이용 폭동 유도 느낌 받아" 김병주 "군 이해 못하는 사람들이 누가 지시했나 따져"

v.daum.net/v/2025021819...

그니까 그날 국회에 나간 사람들이, '대통령이 미쳐서 갑자기 계엄을 하고 계엄군이 국회로 몰려들어오면 걔네들 이용해서 폭동을 저질러야지!'라고 평소에 생각하면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가 옳다쿠나 하고 튀어나갔단 이야기인가. 반란군들이 참 할말도 많다...

19.02.2025 06:42 — 👍 7    🔁 10    💬 0    📌 0

개인정보를 이용해서 공격하겠다는 시도(?)를 하는 경우를 보았는데, 소셜미디어가 사람들 많이 망쳤다 싶음. 역시 익명 소셜미디어에는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이 상책...

19.02.2025 06:39 — 👍 5    🔁 0    💬 0    📌 0
Preview
Large Language Models Show Concerning Tendency to Flatter Users, Stanford Study Reveals Research Shows Gemini Leads in Sycophantic Behavior with 62.47% Rate, Raising Reliability Concerns

Large Language Models Show Concerning Tendency to Flatter Users, Stanford Study Reveals

xyzlabs.substack.com/p/large-lang...

- 스탠포드 연구에 따르면 대형 언어 모델들이 "아첨"—사용자에 대한 과도한 추종—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ChatGPT-4o, Claude-Sonnet, Gemini-1.5-Pro를 테스트한 결과, 평균 58.19%의 응답이 아첨적이었으며, Gemini가 가장 높은 62.47%를 기록

(계속)

18.02.2025 16:15 — 👍 6    🔁 15    💬 1    📌 0
국민의힘 비밀보고서 공개...김건희 공천개입 알고 덮었다 - 뉴스타파
YouTube video by 뉴스타파 Newstapa 국민의힘 비밀보고서 공개...김건희 공천개입 알고 덮었다 - 뉴스타파

당연하게도 국힘은 명태균 김건희 관계 예전에 알고 있었음.

youtu.be/EeYtSdJ8ti8?...

19.02.2025 01:30 — 👍 12    🔁 22    💬 0    📌 0

파딱도 한번 돈내서 달아줬으니 트위터에 할만큼은 한 거 아닐까. ㅎㅎ 오래쓰긴 했다.

19.02.2025 05:38 — 👍 2    🔁 0    💬 1    📌 0

다들 X에서 떠나려다가 계엄 때문에 붙잡혀 있는 느낌.

19.02.2025 05:30 — 👍 11    🔁 3    💬 1    📌 0
Preview
내 트리를 꾸며줘! 트리를 밝히고 세상을 밝혀요💡

colormytree.me/2024/01HGGDT...

01.12.2024 14:24 — 👍 2    🔁 0    💬 0    📌 0
Preview
'김영선 1위' 여론조사‥알고보니 100% 조작 김영선 전 의원이 1위로 나오는 '가짜' 여론조사 보고서가, 명태균 씨의 지시로, 전화 한 통 돌리지 않고 100% 창작됐다는 정황이 새롭게 확인됐습니다. 오늘은 명태...

'김영선 1위' 여론조사‥알고보니 100% 조작 imnews.imbc.com/replay/2024/...

28.11.2024 11:52 — 👍 21    🔁 44    💬 0    📌 2

그렇게 피해자밖에 없는 가상현실을 현실로 받아들이는 사람들만 양산중.

25.11.2024 00:57 — 👍 17    🔁 14    💬 0    📌 0

요새 인터넷 보면 '어딘가 있을 법한, 하지만 전부 사실은 아닌 썰'을 만들어서 서로 분노를 증폭하는데 쓰는 거 같음. 모든 썰의 포맷이 인간 갈등관계에서 한명의 목소리로만 서술되었다는게 특징.

25.11.2024 00:56 — 👍 77    🔁 125    💬 1    📌 3

온라인 커뮤니티에 심리적인 것부터 사고 방식까지 다 의탁하고 사니까 남들도 그러는 줄 아는 친구들이 많음.

24.11.2024 10:59 — 👍 8    🔁 3    💬 0    📌 0

다른 커뮤니티 애들이 트위터 그리고 블스를 깔 때 착각하는게 여기 서식하는 사람들을 자기들처럼 그 커뮤니티에 소속감을 가지고 거기의 주민이라고 생각하면서 활동하나본다 인데

솔직히 커뮤니티 SNS 접속 연령이든 수위든 규제 한다고 하면 트위터나 블스를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 많을거다. 근데 느그 오픈형 커뮤니티 하는 애들은 다 반대하지 않냐? 싶음

폐쇄형 탐라 구성 SNS라서 선택적으로 내가 클러스터를 고르기가 가능한 환경을 디씨랑 같다고 하면 글쎄… 싶음

24.11.2024 05:57 — 👍 20    🔁 24    💬 1    📌 0

한두푼 짜리 물건도 아닌데 저런걸 버젓히 판다고...

21.11.2024 08:35 — 👍 3    🔁 3    💬 0    📌 0
Post image

"2017년 전기차 모델3 출시를 앞두고 그는 네바다 공장에 진을 친 뒤 네댓 시간만 잠자며 임직원들을 무자비하게 굴렸다. 그가 엔지니어들에게 부여한 목표는 ‘생산 능력을 3배로 끌어올리라’는 가혹한 것이었다. 직원들은 밤 10시까지 일하고, 공장 바닥에서 눈을 붙인 뒤 새벽 5시에 일어나야 했다"

그래서 나온 물건

20.11.2024 12:50 — 👍 14    🔁 17    💬 1    📌 3

전문의 -> 전공의가 희생해라
전공의 -> 의대생이 희생해라

이마짚

20.11.2024 02:06 — 👍 9    🔁 28    💬 0    📌 0

블루스카이 다 좋은데... 뉴스 계정들 팔로우할게 뭐 있는지 아직 잘 모르는게 문제네.

19.11.2024 10:02 — 👍 4    🔁 0    💬 0    📌 0
Preview
트럼프·머스크 승리에 과학자들이 환호한 이유는 [★★글로벌] - 매일경제 4년 전 대선서 승리한 바이든 과학예산 배정 때 ‘DEI’ 적용 연구자 ‘실력’보다 ‘다양성’ 중요 무리한 진보정책에 질린 과학계 “정부효율부가 수술해야” 호소

m.mk.co.kr/news/world/1...

미국 과학계가 이민자 없이 버티기 쉽지 않을텐데 환호한 교수들이 누굴지 궁금하네 ㅎ

18.11.2024 03:32 — 👍 11    🔁 12    💬 1    📌 0

혼동없이 서비스에서 쓰는 이름을 쓰는게 맞다고 봄. 한국어 앱에서 '게시하기'를 쓰고 있으니 게시물 또는 게시글이 적당.

18.11.2024 03:11 — 👍 6    🔁 8    💬 0    📌 0

정부의 '효율'과 사기업의 '효율'은 정의부터 다르게 봐야 하는데, 일론 머스크가 그 차이를 이해하고 있을지는 매우 의문. 예를 들면 소방관들 불 안 끄고 있다고 자르는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농후한데(..

17.11.2024 02:32 — 👍 7    🔁 4    💬 0    📌 0

어느 당에 멀쩡한 정치인이 100명 있다는 걸 강조한다? 별 의미없음. 어차피 저 아수라장 구도 하에서는 n턴 지나면 다 멀쩡해지지 않게 될 예정이므로. 당선된 사람이 임기 후에 사법처리 되는 것과도 상당히 다른 문제임. 임기 동안의 유권자의 선택이 침범당하는 것은 아니니까.
정권이 바뀌면 해결된다? 어차피 이 구도가 고착되면 그만큼 민주주의는 훼손되는 것이라 그것도 부차적인 문제.

17.11.2024 02:04 — 👍 9    🔁 12    💬 0    📌 0

n턴이 지나면 유권자의 영향력이 더 강해지고 나쁜 사례들이 유권자에 의해 걸러지는 방향으로 가야 희망이 있는 건데, (심지어 악화가 되더라도 유권자의 선택이었다는 말은 할 수 있음) 이게 반대로 가는 것임. 검찰과 재판관의 선택으로. 이 구도에서는 정치인 개인이 누구인지는 부차적인 문제임.

17.11.2024 01:58 — 👍 10    🔁 13    💬 1    📌 0

언론이 만들어낸 '사법리스크'라는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분들이 많은데, 이건 개인을 리스크로 보는 것부터 이미 그 용어의 의도에 넘어간 것임. 이건 정치문화 전체가 사법권에 위협받는 리스크라고 봐야함. 예를 들어 A당에 히틀러가, B당에 김정은이 있더라도 당선된 히틀러는 비슷한 이유로도 재판 받지 않고 김정은은 재판 받는게 반복된다면 n턴만에 순식간에 제대로된 정치문화는 날아가고 죽이고 죽는 아수라장 복수극이 되는 문제임. 정치인 한두명이 차력쇼로 돌파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고 유권자들이 고쳐야함.

17.11.2024 01:53 — 👍 20    🔁 27    💬 1    📌 0

옮겨와야 하나...

16.11.2024 13:17 — 👍 6    🔁 0    💬 0    📌 0

지능의 본질을 우리가 제대로 정의할 수 있는지? 그냥 '인간이 익숙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지능이라고 어렴풋이 생각하고 있을 뿐은 아닌지?

딥러닝 기술이 없었던 '심심이'류 챗봇시절에도 일정비율의 사람들은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그게 사람이 말하는 거라 믿었음. 정말 지능이 뭔지는 아직도 아는게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을거 같기도 하다.

06.05.2024 10:29 — 👍 5    🔁 4    💬 0    📌 0

딥러닝 뉴럴넷의 출력은 결국 1000101.. 같은 것인데, 여기에 이미 약속된 문자 기호를 매핑해서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것. 요새 뉴럴넷의 내부 동작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지만, 이 이해가능한 기호 출력만으로 지능의 일부가 구현되었다고 믿는 사람이 많다.

이 생각을 확장하면 중요한 질문이 하나 생기는데.. 다른 생물의 활동들도 우리가 그냥 거기에 적절한 기호를 매핑하는 법을 모를 뿐이라면? 매핑하면 우리 생각보다 훨씬 지능적인 활동을 하고 있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

06.05.2024 10:26 — 👍 4    🔁 2    💬 1    📌 0

심지어 진짜 공공정책이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사람은 공론장에서조차 수요로 잘 안 드러남. 목소리 낼 여유도 없어서.

06.05.2024 01:21 — 👍 18    🔁 14    💬 0    📌 0

민간 시장은 공공정책보다 일반적인 의미의 '실수요'에 훨씬 더 잘 대응함. 자기 돈 걸고 돈 벌려는 것인데 소비자 목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음.

공공정책은 돈이 부족해 시장에서 수요자로 잡힐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 그러니 일견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밖에 없음.

06.05.2024 01:19 — 👍 13    🔁 12    💬 1    📌 0

아이가 미래세대고 나중에 우리 부양할거다...라는 이야기도 좀 알아 들으라고 하는 이야기에 가깝지, 정답은 "아이는 한국이라는 공동체의 일원이고 경제능력이 없기 때문에 우선지원해야한다."라고 생각함. 한국이 인구 폭발하는 나라도 아니고... 따질게 있나.그냥 이유 불문하고 태어났으니까 부양하는 것임.

노인 자살율 1위인데 노인복지는 별로 주목받지 않는 나라다보니 인기 없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노인 복지도 마찬가지임. 그냥 한국 공동체의 일원이니 부양해야하는 것.)

04.05.2024 11:21 — 👍 10    🔁 8    💬 0    📌 0

나는 뭔가 사회의 방향성에 대한 확고한 이상향 같은게 있지는 않은 편이고, 데이터 많이 보는 사람답게: 'OECD 통계 같은데서 한국 혼자 극단값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것은 문제신호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니 일단 뚜렷하고 정당한 이유가 없다면 이 값들을 평균 정도로 끌어오는 것부터 많은 문제가 풀릴것이다'라고 생각하는 편.

근데 확고한 이상향이 있는것처럼 말하는 분들이 그 방향으로 가기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치들조차 거부감 가지는 걸 보면 좀 의문이 많이 듦.

04.05.2024 09:17 — 👍 10    🔁 8    💬 0    📌 0

@cfr0g is following 20 prominent acc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