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na.social.k0na.kr 와 샌즈!
와! 테스트!
@konagonacoffee.bsky.social
백엔드 서버 개발자 Kotlin, Rust user
@kona.social.k0na.kr 와 샌즈!
와! 테스트!
그래서 제가 (울며 뛰쳐나감)
06.03.2025 01:50 — 👍 4 🔁 1 💬 1 📌 0퇴근하고싶다.
06.03.2025 02:03 — 👍 0 🔁 0 💬 0 📌 0bluesky PDS 컨테이너 이미지 너무 불편하지 않나요.
커스텀 도메인 쓰고 싶은데 셋업하기가 너무 귀찮네요.
기본 docker compose template에 네트워크 모드를 전부 host로 해둔건 악몽인데...
명확하게 파고들어본적은 없지만,
코파일럿이나 ChatGPT를 사용할때
- 빌드형/컴파일러형 언어보단 인터프리터언어
- 메이저하게 사용되는 언어/프레임워크/환경
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로 체감 효능이 엄청나게 바뀐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빌드, 컴파일로 코드를 검증하는 과정도 공짜가 아니고,
LLM 또한 어디서 본걸 가져오는거라, 본게 없으면 나올게 없어요.
빌드가 무겁고 아직 파이가 작은 Kotlin 사용자는 오늘도 코파일럿에게 대량의 그냥 쓰레기와 약간의 그럴싸한 쓰레기를 추천받고 있습니다..
저도 꿀빨고 싶어요...
검증에 강한 직관과 날카로운 비판적 사고력, 나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기반 정보를 근간으로 조합된 문장을 내리깔보는 독립성을 갖고서야 피할 수 있는 헛소리를 수용하는 위험에 비하면 "개똥같은 코드" 는 위험이라고 부르기조차 하찮다. 사소한 귀찮음에 가깝지. 기왕 나온 개똥 이런 데에라도 써먹는 게 근본적으로 나쁜 일이라는 주장에 그다지 인력을 느끼지 않는다.
LLM이 작성한 개똥같은 코드를 공유하는 코워커에게 고통받고 있다면 LLM을 욕하기보다는 코워커나, 그게 베이스에 흘러들어오는 워크플로우랑 먼저 상담해야 할 일 아닐까?
LLM을 코드 작성 업무에 사용하는 걸 (Cursor든 뭐든) 가열차게 디스하는 이야기를 종종 이따금 동료 개발자들의 말글로 보곤 하는데, 뭐, 하는 말이 전면적으로 틀렸다고까지는 생각하지 않지만 대체로 시큰둥하게 반응하게 된다.
내 시큰둥한 반응의 뿌리는 "테스트를 하세요 그럼. 코드만큼 테스트하기 쉬운 게 어디 있다고...?" 에 있다 - 맞다, LLM은 실수를 하고 환각을 일으킨다. 그리고 코드의 실수나 환각은 LLM이 유발하는 위험 중 제일 검증과 제거가 쉽다. 눈도 컴파일러도 테스트 시나리오도 있으면 못 쓸 이유가 뭔가.
야호!
01.03.2025 13:43 — 👍 0 🔁 0 💬 0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