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힘들어졌다. 달리기 수준을 높일 필요 없어졌어. 정말 다행이다.
27.05.2025 22:10 — 👍 0 🔁 0 💬 0 📌 0@emdashneeded.bsky.social
본인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주세요.
다시 힘들어졌다. 달리기 수준을 높일 필요 없어졌어. 정말 다행이다.
27.05.2025 22:10 — 👍 0 🔁 0 💬 0 📌 0학계 구성원으로 살다보면 내 안에서의 계급적? 계층적? 분열을 어떻게 마주해야 할 지 모르겠다...
26.05.2025 01:26 — 👍 0 🔁 0 💬 0 📌 0요즘 재미있는 일도, 기쁜 일도, 진지하게 가치를 두고 몰입할 만한 동력도 죄다 고갈된 것 같은
26.05.2025 00:16 — 👍 0 🔁 0 💬 0 📌 0내가 짝사랑했던 ...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이 비평 관련 책을 내셨더라
26.05.2025 00:16 — 👍 0 🔁 0 💬 0 📌 0펀딩완료!
24.05.2025 23:49 — 👍 4 🔁 1 💬 0 📌 0The Decolonizing Korean Studies Collective (DKSC) is a community of scholars, activists, and community organizers united by a shared commitment to challenging the colonial, racialized, and heteronormative foundations of Korean studies. As a field largely institutionalized within US academia during the Cold War, Korean studies has long operated as a knowledge project that served the strategic and ideological interests of the US empire. The production of academic knowledge about Korea was never neutral; it was embedded in a larger apparatus of military,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domination that continues to shape the field’s practices.
We come together to address the harms perpetuated by this legacy, including the ongoing marginalization of voices from Korean, diasporic, and other communities silenced by colonial, racialized, and heteronormative structures of power. We stand in solidarity with those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erasure, or exploitation within the academy and beyond—particularly early-career scholars made vulnerable by institutionalized white supremacy, settler colonialism, and academic gatekeeping—while also recognizing the complicity of Korean and Korean American scholars who uphold or benefit from these systems.
We seek to change how Korean studies is practiced: what we study, how we study, and for whom. For us, decolonizing Korean studies is not a metaphor. It is a deliberate and ongoing process that demands structural change, collective care, and new imagination. This involves challenging institutional norms, confronting exploitative research practices, and promoting collaborative scholarship and pedagogy. We are deeply committed to the ethos of community building—an ideal too often appropriated or overlooked within academia’s hierarchical systems. We strive to cultivate a space rooted in radical trust where our shared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foster growth and repair.
Since our formation in 2023, we have actively organized public events, roundtable workshops, and mentorship programs to foster dialogue, support early-career scholars, and create spaces for solidarity across disciplines and communities. We are dedicated to deepening this work as we envision Korean studies grounded in justice, equity, and collective liberation.
We’ve updated our mission statement on our webpage in both English and Korean:
dkscollective.com/dks-collecti...
아침식사.
강의 전에 든든하게 먹어야지.
아침 달리기 오늘도 최고!
26.04.2025 22:35 — 👍 0 🔁 0 💬 0 📌 0학생 때가 좋았다 학생 때는 글 안 써지면 바로 징징 거리고 아무나 끌고 나와서 같이 산책하고 이러면 됐는데 어째 박사 졸업하고 난 뒤가 더 외로워지는 것 같다
학위가 주는 게 체면 차리기 밖에 없다니
대체 왜 안 써지는거지 무슨 압박을 받는거지 나는...
24.04.2025 05:48 — 👍 0 🔁 0 💬 0 📌 0아무도 부러워하지 않는 사과 요거트 범벅 도시락
21.04.2025 01:32 — 👍 0 🔁 0 💬 0 📌 0축하드립니다!
아플 때 먹는 귀한 약 같은
리시올/플레이타임♡
지인이랑 통화를 다섯시간 하는 서른 둘
19.04.2025 12:57 — 👍 0 🔁 0 💬 0 📌 0“별생각 없이 올린 사진, 영상, 글귀가 여러 해 뒤 학교에 지원할 때, 구직할 때, 집을 계약할 때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한편 그와 똑같은 게시물이ㅡ예쁜 옷을 입어보거나 방에서 혼자 춤추는 게시물이ㅡ막대한 부와 명성으로 이어진다면? 걸려 있는 상과 벌이 이렇게나 큰 상황에서 청년들은 무엇을 하고, 무엇에는 감히 도전할 생각조차 않을까?”
21.12.2024 08:47 — 👍 6 🔁 2 💬 1 📌 0이면 됐지 굳이 시위의 전 과정이 웃기고 즐거울 필요는 없었고 그렇게 보여지고 기억될 필요도 없었는데 나에게 어떤 강박이 있었나 싶고, 일종의 보상 심리였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게 너무 크게 작동해서 몸을 다르게 쓰는 데 실패한 기분이고, 나한테 익숙한 것을 반복한 듯한 기분도 들었다.)
08.12.2024 14:23 — 👍 0 🔁 0 💬 0 📌 040분 달리기가 힘들지 않다.
01.12.2024 07:50 — 👍 1 🔁 0 💬 0 📌 0헬스장 가서 뛰고 와야지
01.12.2024 05:39 — 👍 0 🔁 0 💬 0 📌 140분 달리기가 가능해졌다... 진짜 원치 않은 기능
29.11.2024 00:34 — 👍 1 🔁 0 💬 0 📌 1이사 준비하시면서 여러모로 바쁘시겠어요! 무사히 이사 마치시길 바랄게요! 🧸🎅
28.11.2024 22:01 — 👍 1 🔁 0 💬 0 📌 0어머! 저도 몇년 전에 구매한 건데 귀여워서 소중하게 잘 챙겨다니고 있어요! 이사하세요? 크리스마스 가기 전에 꺼내야 할텐데요...!
28.11.2024 12:49 — 👍 0 🔁 0 💬 1 📌 0그리고 곰돌이 인형도 걸어놓을 수 있다.
28.11.2024 12:45 — 👍 0 🔁 0 💬 1 📌 0<휴식은 저항이다> 이 책... 개인화된 자기계발 자기관리 등등에 포섭될 여지를 조금도 주지 않으려는 분명한 정치적인 기획을 담은 텍스트면서 (휴식과 백인중심주의, 자본주의를 함께 사유하는 책) 동시에 시적이라서 매일 조금씩 읽고 한참 곱씹으면서 저녁 시간을 보내는 중.
귤도 많이 먹고요.
오늘 연구소에서 유리창 뷰 보면서 좋다 하고 차 마시면서 일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눈 때문에 버스 끊겨서 여기까지 안 올라온다는 소식에 다들 웅성웅성 더 어두워지기 전에 걸어서 내려가야하지 않겠냐고 해서 갑자기 헐레벌떡 짐 싸서는 모두 일찍 귀가했다.
27.11.2024 11:42 — 👍 0 🔁 0 💬 0 📌 0오늘의 통창 뷰
27.11.2024 11:29 — 👍 1 🔁 0 💬 0 📌 0오늘 읽은 것들 생각한 것들 다 집요했고 뭐랄까 그냥... 좋았다
26.11.2024 07:57 — 👍 0 🔁 0 💬 0 📌 0연구소 일찍 나와서 싸구리 스피커로 <everything happens to me> 틀어놓고 애플시나몬티 마시고 있어...
25.11.2024 23:20 — 👍 0 🔁 0 💬 0 📌 0"나는 그저 흑인으로서, 흑인을 위한 존재가 된다는 발상과 개념을 좋아한다. 앞 사람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말, 탁월한 흑인이라는 관념, 영감과 본보기가 되려는 끝없는 노력은 힘겹고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백인우월주의와 체면의 정치에 젖어있기에 흑인인 우리의 자존감을 무너뜨린다."
25.11.2024 11:32 — 👍 0 🔁 0 💬 0 📌 0현재의 포닥 생활에 어느 정도 만족한다. 그간 오히려 이런 불안정한 상태가 내 친구였고 나의 생활 양식이었고 나를 정의하는 부분이 되었기 때문에 만족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20.11.2024 11:29 — 👍 0 🔁 0 💬 0 📌 0<휴식은 저항이다> 아름다운 책이다.
18.11.2024 11:51 — 👍 1 🔁 0 💬 0 📌 0집 오자마자 허겁지겁 배추찜을 만들어 먹고 있다
18.11.2024 09:15 — 👍 0 🔁 0 💬 0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