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ekt's Avatar

Synekt

@synekt16.bsky.social

관심사: 불교공부 시도중인 유물론자. 언어학(및 中文). 과학. 과학소설. 스타트렉/워즈. 눈마새/피마새. 게임도 함. 기타쳤었음. | 음악 취향: KARDI. 김뜻돌. 새소년/황소윤. 3호선버터플라이. 데카당. 송소희.

58 Followers  |  66 Following  |  5 Posts  |  Joined: 25.06.2023  |  2.0087

Latest posts by synekt16.bsky.social on Bluesky

한자를 알면 필담 하는 것도 일본어 화자 정도랑 가능하고 중국어 화자랑은 좀 어렵지 않나? "老师生气了(선생님 화 나셨어.)" 같은 간단한 말도 중국어를 모르는 한국어 화자는 "늙은 스승의 생기 있음?" 뭐 이런 식으로 읽을 텐데.

11.10.2025 12:45 — 👍 11    🔁 13    💬 2    📌 1

"휴게소"의 "소"가 "장소"라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쉼터"의 "터"가 "장소"라는 것을 가르치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 잘 모르겠다. 왜 전자는 한자 "所"를 쓰는 법도 외우도록 하고 심지어 "바 소"라고 읽도록 해야 한다는 건지.

11.10.2025 13:07 — 👍 6    🔁 4    💬 0    📌 0

1)은 '중식'이 '중국 음식' 또는 '하루의 가운데에 먹는 식사'이라고 가르치는 것이고

2)는 中食이 '중식'이라고 가르치는 것임.

'중식'이 '중화 요리'인지 '점심'인지 맥락을 보고 파악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은 1)도 2)도 아닌 한국어 교육임.

11.10.2025 14:04 — 👍 7    🔁 8    💬 0    📌 0

중국에서도 음차 표현이 늘고, 한자를 소릿말처럼 활용하는 경향이 커지는 중이고
언어와 문자의 사용이 변해가는거 아주 재밌죠
얘네도 살아있다니까?

11.10.2025 15:49 — 👍 3    🔁 6    💬 0    📌 0

한자를 배우면 낱말들의 뜻을 자동으로 알게 되며, 헷갈릴 일이 없다는 사람들한테는 늘 "확신범(確信犯)" 얘기를 한다.

"確信(확신)"이라는 한자를 보고 그 뜻이 "굳은 믿음"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도 "확신범(어떤 정치적·사상적 확신을 지녀서, 그 확신 때문에 그 확신을 위해 범죄를 저지른 자)" 뜻을 "범죄자임을 확신할 수 있는 자"로 잘못 생각할 수 있으며, 낱말 뜻은 따로 배워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한자어도 다른 외래어나 고유어와 똑같다. 어휘소들은 익히면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되지만, 당연하게도 그게 만능이 아니에요.

25.11.2024 12:24 — 👍 42    🔁 47    💬 1    📌 1

"한문" 얘기고 "한자" 얘기는 아니다. 한자는 중국어와 일본어를 쓰고 읽으려면 꼭 배워야 하겠지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경우에는 그 언어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어들을 구성하는 어휘소들(그러니까, "민주주의"의 "민"이 "사람들"을 뜻한다는 것)을 배워야 하지, 한자 자체를 읽고 쓸 줄 알 필요는 뭐 굳이… 영어 배울 때도 "하이드로(hydro)"가 "물"이라는 뜻의 그리스어계 접사임을 알면 좋지만, 고대 그리스어 "휘도르(ὕδωρ)"를 읽고 쓸 줄 알 필요는 굳이 없는 것처럼.

25.11.2024 12:19 — 👍 24    🔁 27    💬 1    📌 0

노벨상이 발표되면 국립국어원에서 수상자 이름 한글 표기를 재빨리 공문으로 배포하는데, 그러니까 국립국어원은 헝가리 인명을 성·이름 순으로 제대로 배포했고, 언론이 받아적을 때 한글 표기는 국립국어원 것을, 로마자 표기는 (순서가 영어식으로 이름·성 순으로 바뀌어버린) 영어 기사 같은 걸 그대로 받아 적었나 보다.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Krasznahorkai László)"로 적는 게 어렵지도 않을 텐데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László Krasznahorkai)"라고 적어 놨어. ☹️

10.10.2025 00:09 — 👍 11    🔁 15    💬 0    📌 0
Preview
국내 마지막 총여학생회 포항공과대학교서 폐지 국내에는 더 이상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총여학생회(총여)가 존재하지 않는다.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가 9일 학생총투표를 통해 ‘포항공과대학교 총여학생회 폐지’ 안건을 가결한 결과다.포스텍은 재학생 중 여성이 4명 중 1명꼴로, 여성의 의견 개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포스텍에 재학 중인 ㄱ씨는 “여성 의제를 제기하면 학교 밖의 사회·정치적 젠더 갈등, 이념 갈등...

국내 마지막 총여학생회 포항공과대학교서 폐지
inews.ewha.ac.kr/news/article...

“여성 의제를 제기하면 학교 밖의 사회·정치적 젠더 갈등, 이념 갈등과 연결해 ‘페미’라 낙인찍고, 익명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신상 털기, 조리돌림이 발생한다”

"총여가 페미니즘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폐지 논거의 골자였다."

세상에.

22.09.2025 07:21 — 👍 18    🔁 83    💬 1    📌 7

Korean recipe: grate a pear.
white person: haha who uses pear in a beef recipe? It must be a mistake. (skips the pear)
me: 😡

western recipe: mince one clove of garlic.
also me: haha who uses one clove of garlic in a recipe? It must be a mistake. (minces 20 cloves of garlic 😌)

18.09.2025 11:12 — 👍 29    🔁 14    💬 0    📌 1
Post image

일본어 유래는 아니지만...
가장 충격적으로 여기고 있는게... 이거!!
원래 이름은 당연히 고소작업대거든!!
근데... 도입 초기 모든 현장이 이걸 사서 쓰는게 아니다 보니 주로 전문적인 대여 업체가 생겼어.
그 회사들이 보통 '00렌탈' 같은 식으로 이름을 지었거든.
그래서 이 물건은... '렌탈'로 불리게 됨.
이제는 직접 사서 쓰는 곳들도 많은데...그래도 렌탈.
- 우리도 이제 렌탈 하나 장만해야지 않을까,
- 렌탈 그거 맨날 빌려쓰는 것도 번거롭다,
- 렌탈 렌탈비 언제까지 결재해줘야 되지?
막 이렇게 됨.

16.09.2025 08:40 — 👍 58    🔁 101    💬 2    📌 2

한국어의 "말"이라는 개념을 좋아한다. 한국어에서는 사람이 뜻을 전달하기 위해 내는 소리가 다 "말"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어 화자들은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말이 안 되는 소리"도 있고 "말 같지도 않은 소리"까지 있기 때문이다. "그게 말이냐?" 하고 묻기도 하고, "입에서 뱉는다고 다 말인 줄 아느냐?" 하며 화를 내기도 한다. 소리가 "말"이기 위한 조건이 까다롭다. 그게 좋아.

16.09.2025 10:38 — 👍 23    🔁 11    💬 0    📌 0

"무엇이 원어 발음과 더/가장 가까운 표기냐?"라는 질문은 정말 어렵다. 원어 소리의, 그리고 한국어 표기대로 읽었을 때 한국어 소리의 어떤 측면을 우선 고려하는지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표기법은 원어 음소 체계와 한국어 음소 체계도 고려한다. 하지만 이것을 완전히 무시하더라도… "원어 발음과 더/가장 가까운 표기"는 "딱 들어 보면 하나의 정답이 나오는 문제"가 아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자기에게 들린 측면들을 자기가 해석해 적은 표기가 이견의 여지 없이 옳다고 생각한다.

16.09.2025 14:11 — 👍 7    🔁 4    💬 1    📌 0

"냉전기 캐치프레이즈 '전체주의'는 파시즘을 그것의 기원이자 제 자리인 산업자본주의에서 떼어내서 공산주의에 갖다씌우는 역할을 했다."

"파시즘은 자본주의 체제 고유의 '국가주의적·반혁명적 목적을 위한 대중 동원, 군사화된 행동주의, 그리고 … 엘리트주의적·권위주의적·억압적 국가 도구에 대한 동기'를 내재한다."

크리스틴 홍 2020년 《A Violent Peace: Race, U.S. Militarism, and Cultures of Democratization in Cold War Asia and the Pacific》 28쪽

03.09.2025 12:17 — 👍 13    🔁 19    💬 1    📌 1

대만은 모르겠지만, 여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친구들은 한국 사람들처럼 일제강점기를 겪은 할머니·할아버지로부터 일제의 잔혹함에 관해 듣고 자랐을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가 일제 피해자에 관해서 말할 때 중국과 한국의 피해자들이 중심이 되고 동남아시아의 참상이 빠지는 것에 관해서도 억하심정을 지니고 있었다.

16.08.2025 02:20 — 👍 63    🔁 102    💬 1    📌 2

"大人"도 웃기지만 "此"도 "可口"도 너무 웃기고 (사극에서 나오셨어요?) "乎"는 어떻게 발음하셨는지 상상도 안 간다. 대만어 방식으로 하셨을까… 😂

13.08.2025 08:57 — 👍 7    🔁 3    💬 2    📌 0

m.blog.naver.com/PostView.nav... 달지도 않고 뿌리도 아닌 “단 뿌리” …

27.07.2025 00:42 — 👍 0    🔁 3    💬 0    📌 0

중국 무비자되고 젊은층이 상하이에 많이 놀러가면서 맥도날드에서 치워주는 문화 얘기가 많이 올라온다 문화차이때문에 중국인들은 치우지도 않고 간다고 욕하던 사람들이 중국인들을 조금씩 이해하는 듯 요즘 커뮤 여행 게시판에 중국 여행글이 많이 올라오는데 혐중을 없애는 건 결국 교류다 몰라서 이해를 못하고 오해하는 부분이 크다 중국 비자가 큰 장벽이었어 중국여행 쉽다고 자유여행 붐이 오는 듯 무비자 정책이 계속된다면 일본보다 중국을 더 많이 갈 듯...

21.06.2025 02:07 — 👍 25    🔁 26    💬 0    📌 0

"교계" 같은 소리 하고 앉았네. 한국에 종교가 개신교뿐이야? 불교는 개신교 테러 때문에 차별금지법을 원하고 지지한다.

20.06.2025 06:08 — 👍 29    🔁 47    💬 0    📌 0

안전 수칙도 안 지켜서 노동자가 다칠뿐만 아니라 심지어 죽는 공장에서 위생 수칙을 지킬 리가 없다.

14.06.2025 23:08 — 👍 38    🔁 85    💬 0    📌 2
Post image

Claude는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응답을 반드시 다시 확인해 주세요.

14.06.2025 09:01 — 👍 36    🔁 144    💬 0    📌 4

네오플 노조가 준법투쟁을 한대서 봤더니

그 내용이
야근 거부(19시 이후 퇴근), 주말 출근 거부라고??

대체 노동조건이 어떻게 되어있는거임??

10.06.2025 09:37 — 👍 38    🔁 124    💬 0    📌 1
Preview
‘의원직 제명’ 청원 50만명 넘겨도…이준석 “그런 일 벌어질 리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을 국회의원직에서 제명하라는 국민청원이 5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이 의원이 “그런 일이 벌어지리라고는 여기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11일 공개된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부분의 민주당 의원들조차 제명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을 국회의원직에서 제명하라는 국민청원이 5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이 의원이 “그런 일이 벌어지리라고는 여기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11.06.2025 01:56 — 👍 3    🔁 15    💬 0    📌 13

적국이어도 하면 안 되는 말이다. 일본에서 큰 지진이 났을 때 인터넷에서 저런 식으로 배설하는 놈들은 한국인들이 가장 먼저 거세게 비판했다. 인두겁을 뒤집어썼으면 할 수 없는 말이고, 정치인이 자국 민간인 대상으로 저런 소리를 한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

11.06.2025 01:11 — 👍 22    🔁 58    💬 0    📌 0
Post image

언론들 이따위로 은근슬쩍 혐중 정서에 편중하고 부추기면서 클릭수 장사하는 꼴 진짜 쓰레기 같음

09.06.2025 22:49 — 👍 28    🔁 56    💬 1    📌 1

이준석의 이번 망언은 발화 방법이 성폭력적인데다 거짓 루머였기에 강경한 대응이 가능했지만, 만일 안오박 성폭력 사건 문제를 누군가 다시 수위로 올린다면 지금의 민주당은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
국회 의석 제 1정당인 민주당이 당 내 성인지 감수성과 여성 정책을 제정할 추진력을 꾸준히 키우는 정당임을 어필해야 이준석은 물론 제2, 제3의 예비 이준석을 정치권에서 몰아낼 수 있습니다.

28.05.2025 05:22 — 👍 18    🔁 31    💬 0    📌 0

민주당 측은 이준석을 적극 비판하되, 동시에 여성 의제 강화 및 차금법 제정 요구 등을 소홀히 하며 '2030남' 지지자만 붙잡기에 골몰했던 지난날을 반성하고, 아울러 안희정 및 박원순 을 두둔했던 당 내 정치인들의 사과와 개선을 촉구하여 이를 거부하는 인물은 당에서 축출하십시오
(타래 이어짐)

28.05.2025 05:16 — 👍 27    🔁 39    💬 2    📌 0

"보랗게"라는 표현 너무 재밌고 좋아.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하얀색, 까만색 같은 고유어 색깔 이름 말고 보라색, 초록색 같은 외래어(한자어 포함) 색깔 이름은 "빨갛다" 같은 "-ㅎ다" 형용사 형태가 원래 없지만 사람들이 "보랗다", "초랗다" 같은 말을 쓴다. 재밌어.

21.05.2025 11:23 — 👍 28    🔁 18    💬 0    📌 2

일단 학계 구조는 그런거에 인센티브가 없어서 재야학자 자칭하는 광인 나오면 피하기 급급한데 이걸 좀 바꿔야 할 거 같음

23.05.2025 17:43 — 👍 12    🔁 19    💬 0    📌 0

"두발자전거"와 "세발자전거"와 "네발자전거" 보면서도 했던 생각인데, 한국어 화자들 땅에 닿는 걸 "발"이라 부르는 걸까?

13.04.2025 14:28 — 👍 11    🔁 4    💬 1    📌 0

@synekt16 is following 20 prominent accounts